한국 식량자급률 20% 미만: 동아일보

한국 식량자급률 20% 미만: 동아일보

이코노미스트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식량안보지수(World Food Security Index)에서 한국은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32위를 기록했다. 일본이 매년 10위를 기록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2017년 24위에서 2019년 29위로 계속 하락하고 있는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한국의 순위는 식량 위기 상황에서 충분한 식량을 저장하는 전략이 없었기 때문에 낮았다. 인구 증가, 재난, 전쟁 및 식량 안보를 돌볼 정부 기관이 부족합니다.

남재작 회장은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들은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위기에 대한 장기 대응 방안을 갖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아직 식량안보 의제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한국정밀농업연구원에서 발간한 『식량위기에 직면한 한국』의 저자, ​​6월 20일.

한국의 밀 자급률은 0.7%에 불과하며 연간 350만 톤의 밀 소비를 미국, 호주, 우크라이나 등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작년부터 미국에서 계속된 가혹한 초안은 미국 ​​곡물 생산량의 40%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식량 가격이 크게 올랐다. 호주는 3~5년에 한 번씩 흉작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식량 가격은 지역, 산불, 전쟁 및 기타 글로벌 위기가 발생할 경우 언제든지 불가피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해결책은 식량 자급률을 높이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우리나라 농경지의 1~2%가 매년 사라지고 있다고 하는데, 이것이 농업 쇠퇴의 원인입니다. 우리는 “2020년 기준 농가의 70%가 연 소득 1000만 달러 미만이다. 농경지 감소와 농업 노동력 감소를 고려할 때 현재의 자급률을 유지하기조차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 곡물 공급을 다변화하여 식량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향후 5~10년 동안 주요 농업 생산자의 식량 생산을 예측하고 사전 구매 계약을 체결하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진짜 위기는 다른 나라의 식량 생산과 재고 데이터에 대해 전혀 모를 때 온다”고 경고했다. 전 세계 국가들은 100년 이상 동안 식량 안보 시스템을 개발하느라 분주했습니다. NASA는 미국의 위성을 사용하여 작물 생산을 연구하기 위해 식량 작물 생산 지역을 평가합니다. 중국은 국영 화학기업인 켐차이나를 통해 스위스의 다국적 농업기업 신젠타를 430억 달러에 인수했다. 한국, 2025년까지 농업용 중형 위성 발사 우리는 “더 늦기 전에 식량 안보를 국가 의제로 올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올웨이즈 99 @donga.com

Gu Korain

"불치의 인터넷 중독. 수상 경력에 빛나는 맥주 전문가. 여행 전문가. 전형적인 분석가."

Learn More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